충남도, ‘글로벌 경제허브’ 꿈 커가는 베이밸리

이지예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6 14:20:32
  • -
  • +
  • 인쇄
국내외 저명인사 대거 참여 베이밸리 미래·국제 협력 모색
▲ 글로벌 경제허브’ 꿈 커가는 베이밸리

[뉴스다컴] 충남·경기 아산만 일대를 대한민국 4차산업 선도 글로벌 경제 허브로 만들기 위한 민선8기 힘쎈충남의 꿈이 커가고 있다.

도는 26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에서 ‘2025 베이밸리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힘쎈충남 ‘1호 과제’인 베이밸리의 성과와 미래 비전, 공유하고, 국제 협력 방안을 공유·모색했다.

제10회 환황해 포럼을 포함한 이번 심포지엄에는 김태흠 지사, 야마시타 마코토 일본 나라현지사, 미래학자인 토마스 프레이 미국 퓨처리스트스피커 설립자, 릭 라스무센 미국 UC버클리 교수, 왕월청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부원장 겸 교수 등 국내외 지자체장과 학계 인사, 기업인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베이밸리 환황해 혁신의 중심이 되다’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은 김 지사 개회사, 기조강연, 사례 발표, 패널 토론, 환황해 포럼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베이밸리 정책 추진 3년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경제 허브 육성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 지사는 “아산만 일대는 동북아 경제벨트의 핵심이 될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반도체·디스플레이·수소 등 미래 첨단 산업과 함께 자동차·석유화학 등 제조업의 중추가 모인 대한민국 경제의 심장부”라고 강조했다.

또 “430만 명의 인구와 1700억 달러의 지역내총생산(GRDP)으로 한국 수출의 23%를 담당하고 있으며, 삼성·현대 등 32만 개의 기업이 몰려있다”고 소개하며 “미국 실리콘밸리나 중국 웨강아오대만구, 일본 간사이 지방처럼 만을 끼고 최고의 항만과 교통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입지 조건 또한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힘쎈충남 제1호 공약인 베이밸리를 위해 지난 3년 간 전력을 다해왔다”며 “아산만 순환철도 개통을 11년 앞당겼고, 서해선-경부선 KTX 연결 사업 예타를 통과하며 전국 어디서나 이어지는 초광역 교통망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충남경제자유구역과 관련해서는 “지정을 본격 추진하고, 국내외 투자 유치를 확대하며 글로벌 경제도시 도약 기반을 조성했다”고 소개했다.

미래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선 “1조 원 규모의 벤처투자펀드와 1300여 개의 스타트업 입주 공간을 마련해 청년과 혁신 기업이 안심하고 도전할 수 있는 무대도 만들어가고 있다”고 자평했다.

앞으로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기반과 인공지능(AI) 산업 기반을 구축하고, 반도체 후공정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강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5000억 원 규모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도 빠르게 추진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햇빛도 돋보기로 모으면 불꽃을 일으킨다”며 “충남도와 여러분의 힘을 하나의 초점으로 모은다면 베이밸리를 진정한 글로벌 경제 허브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베이밸리 성공을 위해 힘을 모아 줄 것을 당부했다.

김 지사 개회사에 이은 기조강연은 15년 간 IBM 수석 엔지니어로 근무하고, 구글 선정 ‘최고의 미래학자’로 이름을 올린 바 있는 토마스 프레이 미국 퓨처리스트스피커 설립자 겸 총괄이사가 ‘메가리전의 시대, 한국형 메가리전 비전’을 주제로 가졌다.

토마스 프레이 소장은 “베이밸리라는 초광역 협력과 혁신 생태계가 결합해 새로운 경제지도를 만들어 갈 모델”이라며 AI 기반 경제, 미래 도시, 창업 생태계 발전 방향 등을 제시했다.

기조강연에 이어서는 야마시타 마코토 일본 나라현지사가 간사이연합의 초광역 거버넌스 경험을 소개했고, 주융후이 중국 광둥성 주임은 웨강아오대만구의 혁신 사례를 발표하며 환황해 초거대 도시권 협력 비전을 공유했다.

발표에 이어서는 김 지사와 야마시타 마코토 지사, 토마스 프레이 소장, 주융후이 주임 등이 패널 토론을 통해 베이밸리 성공 추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경계없는 혁신 : 다국적 파트너십과 미래 창업 생태계’ 세션에서는 환황해 포럼, 글로벌 창업 생태계와 창업 교육 강연 등을 진행했다.

환황해 포럼은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성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중국 장수성사회과학원 왕월청 부원장과 공보성 주임, 마쓰무라 아키히로 일본 시즈오카현 지역외교담당 참여관 등이 참여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환황해 지역 협력’을 주제로 펼쳤다.

글로벌 창업 생태계와 창업 교육에서는 릭 라스무센 교수가 실리콘밸리 창업 교육과 글로벌 스타트업 성공 요인 등을 설명하며, 아시아 혁신 창업 허브로서의 베이밸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강연에 이어서는 미국 투자사 최고경영자 및 업계 전문가 패널 토론, 미국 벤처캐피탈과 국내 기업 간 1대 1 매칭 투자 상담회가 열렸다.

베이밸리는 충남·경기 아산만 일대를 반도체, 수소경제, 미래 모빌리티 등 대한민국 4차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경제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초광역·초대형 프로젝트다.

‘대한민국 경제산업수도 베이밸리’를 비전으로 2050년까지 36조 원을 투입, 2020년 기준 세계 48위 포르투갈 국가 수준의 아산만 일대 지역내총생산(GRDP)을 20위권 규모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아산만 일대에는 현재 삼성과 현대, 엘지(LG)를 비롯, 32만 개 기업이 입지해 반도체와 미래차, 배터리 등 대한민국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다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